top of page

아트히스토리랩
​Art History Lab

과거와 현재를 잇는 예술적 대화 : 청소년이 바라보는 (한글)독립운동

‘예술(Art)’과 ‘역사(History)’를 결합한 것으로, 예술을 통해 역사를 탐구하고 재해석하는 그룹의 정체성을 현대적이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표현. ‘랩(Lab)’ 은 실험실을 의미하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접근을 강조합니다.

1. 어떤 프로젝트인가요?

‘정태진 기념관’을 통해 바라본 과거와 현재, 일본의 탄압과 한글 지킴 운동를 연극 예술로 탐구합니다. 청소년들이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이슈에 대해 사유하고, 이를 예술을 통해 표현하도록 격려합니다. 일제강점기, 민족말살정책, 독립운동가. 너무나 드라마틱한 이 극적 맥락이 동시대 청소년과 어떻게 만나질 수 있을까요? 자신과는 전혀 상관 없다고 여기던 우리나라의 역사가, 살뮈의 드라마와 참여자가 만나 그들의 일상과 연결되기 시작합니다.

2. ​활동개발일지

1회차, 3월 15일 금요일ㅣ"예술가와 교사인 우리부터 흥미있어야 해요"

청소년 참여자에게 역사는 먼 이야기입니다. 여기서 '멀다'의 의미는 단순히 시간적 거리감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지구 반대편에서는 지금도 전쟁중이지만, 이것 역시 청소년 참여자에게는 먼 이야기입니다. 여기서의 '멀다'도 단순히 공간적 거리감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현재 나의 삶과 무관하다-는 입장이 역사든 전쟁이든, 타인과의 거리감을 갖게합니다. 나 자신과 연결될 때, 우리는 더욱 강하게 반응하고 타인을 이해하게 됩니다. 우리 프로젝트의 큰 숙제는 바로 드라마의 예술로 참여자와 역사 사이의 거리감을 좁히는 일입니다.

그래서 예술가와 교사인 우리 먼저 돌아봅니다. 과연 우리는 파주 지역 역사라는 탐구 주제에 흥미가 있을까요? 참여자들과 함께 탐험할 동력이 있는 상태일까요? 드라마 예술로 탐구하려는 소재와 리더들 사이의 거리감을 좁혀보려는 시도를 시작합니다. 긴 회의 끝에 우리는 일제 강점기 시절 여러 맥락 중에서도 '한글 독립운동가 정태진'이라는 인물을 선택하기로 합니다.

 

2회차, 3월 22일 금요일ㅣ"일제강점기 시절, 한글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우리가 선택한 역사적 맥락은 '일제 강점기 때 한글로 독립운동을 했던 정태진'의 서사입니다. 이 맥락은 청소년 참여자의 일상과 연결될 수 있는 하나의 극적 맥락으로 재구성됩니다. '어떤 외부 존재가 나의 존재를 바꾸기 위해 ___하려고 한다'는 것이 바로 그 내용입니다. 주어진 상황을 나로서 반응하고 행동한 이후에, 정태진의 삶을 돌아보면, 그것은 어떤 경험으로 남게 될까요? 다음 회의 때는 일본이란 상징과 치환할 수 있는 외부 세력, 한글을 대체할 수 있는 청소년들의 정체성, 그리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청소년들이 선택할 수 있는 연극적 행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기로 합니다.

2024 주제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예술로탐구생활

극단 살뮈와 문산수억고등학교의 공동 프로젝트

예술가 김해웅, 박진선, 서경원

교사 채홍석

bottom of page